대강 셀렉트를 하고, 정리를 한 다음
프린트 할려고 하니.
어라, 인화지가 없다.
11×14 RC 인화지는 정말 많다. (어쩌다 이렇게 된거지)
단, 그것 밖에 없다. 16×20은 이전에 다 써버렸고, 20×24 인화지는
한장 남았다.
오랫만에 일포드 웜톤 인화지를 써볼까 했었는데, 왠걸.
아주 조금 남아있다.
웜톤 인화지는 너무 비싸서.. 걱정이다. 것 참…
‘xx법’ 이런거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하지만 연작을 함에 있어서, 사진의 문법이라는 것을 고민하고 있다.
소위 말하는 위대한 사진가들의 사진적 문법을 분석해보면 대부분 서구식의 테이스트가 물씬 느껴진다는 것을 느끼게 된 것은 비교적 요즘의 일이다.
그렇게 한번 느껴지고 나니, 뭔가 상당히 짜증스러운 일들이 벌어지게 된다. 그렇다고 예전의 내 사진들이 서구식의 사진적 문법을 차용했다고 생각하진 않지만, 아주 영향이 없었다고 말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많든 적든 영향을 받았을 것임에 분명하다.그렇다고 해서, 여기서 다시 동양적인 문법이라는 것은 어떠한 것인가 라던지, 그렇다면 그 ‘동양적’ 이라는 것이 어떠한 것인가를 생각해봄직도 하지만, 그것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 직관적인 느낌으로 ‘이러한 것은 아닐것이다’ 라는 것을 느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단순한 (?) 이유 말고도 또 한가지 짜증나는 것은 이미 기성화 된 – 일정한 form으로써 – 상태로써의 문법을 수용하려고 해도, 어떤 분들이 들으면 역정을 낼지도 모르겠지만, 좀더 세련되고, 그럴듯한 말들 속에 사진은 비명도 없이 말라죽어가는 모습이 보인다. 상당히 마음에 들지 않는다. 물론 이러한 발상(?)은 사진과 말을 이분법적으로 나누기 때문에 생기는 것 아니냐? 라고 질문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분명 소위 ‘말’이라는 것 또한 사진을 이루는 중요한 구성요소 중의 하나 이다. 적절한 비유는 아니겠지만, 컨셉츄얼 아트에 있어서 ‘말’이라는 것은 상당히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물론 난 이러한 것을 부정 하지 않는다. 어떠한 종류의 작품은 상당히 좋아하는 편이고, 오히려 지지하는 쪽이다. 하지만 내가 너무 구시대적인 발상에 젖어있는 것인지도 모르겠지만 ‘사진, 그 자체의 순수성을 소중히 생각하는 예술가’라면, 요즘의 트렌드에 대해서 반감을 완전히 가지지 않을 수는 없는 것이다.
나만의 문법 – 문법에 있어서 ‘나만의’ 라는 것은 성립되지 않지만 – 이라는 것은 과연 어떠한 것을 베이스로 성립되었었는지 생각 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제법 심각하게 고민을 해 봤지만, 처음부터 다시 정의를 내려야 할 것들이 너무나도 산재해 있다. 이러한 작업들을 하다보니 문득 생겨난 의문이 있었다.
누구를 위해서 사진을 찍고 있었나?
나에게 있어서 그 해답은 자명하다.
그래서 ‘나 답게’ 하기로 했다.
오후 5시? 6시? 쯤 되어서 잠이 들었다.
중간에 살짝 깬것 같은데 눈 앞에 어둡고 붉은 빛이 보였다.
사방은 아주 조용했다. 저녁인가? 새벽인가?
생각하기도 귀찮았다. 확인해야 할 이유도 없었다.
꿈결속에 핸드폰 문자알람 소리가 들린다.
그대로 다시 잠 들었다. 그 사이 2번인가 이러한 짓을 반복했다.
마지막으로 눈을 떴을때 햇볕이 보였다.
억지로 억지로 몸을 바둥거리며 일어났다.
몽롱하게 나와서 남아있던 오렌지를 찾아냈다.
오렌지 나이프로 껍질을 생선 배가르듯 갈라내고
껍질을 벗겨냈다. 우물우물 한개씩 씹었다.
오렌지를 먹고나면 잠이 좀 깰것이다 라는 심산이었다.
하지면 효과는 없었다.
시계를 보니 오후 10시를 가르키고 있었다.
세상에 18시간 동안 잠을 잤다. 오렌지를 먹어도 몸이 돌아올리가
없다. 세포들이 아직 잠에 취해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럴땐 가볍게 구보라도 하면 좋겠지만, 그러고 싶지 않다.
인터넷이 되지 않길레, 전화를 해보니 전혀 알아들 을 수 없는
전문적인 용어의 이유로 17시 이후 사용 가능 하다고 한다.
날씨는 썩 좋은 편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기분 나쁜 날씨도 아니다.
갑자기 생긴 시간을 어떻게 사용 할 것인가 생각하다가
책이나 읽는게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 인터넷이 오후 3시쯤에 재개통 되었다.
조용하고 한가한 시간이 항상 좋은것은 아니다.
당연한거지.
내가 줄껀 사진 밖에 없다.
가끔은 스스로 밷은 이 한마디에 스스로 불쌍한 사람이라고 느낀다.
지금의 나로써는 어쩔 수 없는 일이기에, 체념을 할 뿐이다.
언젠가는…
변해간다와 망가진다 라는것은 동의어가 아니다.
하지만 망가진다 라는것 자체는 예전에 어떠한 상태에서
좋지 않은 방향으로 변해가는 흐름을 말한다고 상정한다면,
부정적인 의미로써 변해간다 라는 것은 망가진다와 비슷한 용법으로
종종 이용이 되고 있는 듯 하다.
아닌 사람도 당연히 있겠지만, 일반적으로 변해가는 것에 대해서 사람들은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는듯 싶다. 뭔가 변해간다는 것은 어떤 서글픔을 동반하기 마련인 것 인지도 모르겠다. 자기가 아끼던 물건이 변해가고, 추억이 사람이 사랑이 변해간다고들 한다.
하지만 그러하기 때문에 어떠한 부정적인 변함 이라는 것 마저도 그러하기 때문에 비로써 내일에 대한 희망이 있는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한다.
추신 : 하지만 사람 변하는 것엔 대책 없는게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