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간단한 것이다.
지금 나는 술을 많이 마셨고, 타이핑이 제대로 안되어서 백스페이스를 수차래 눌러서 하나의 문장을 만들고 있지만.
정말 바라는 것은 최소한.
연결된다는 것은 실상 의미가 없지만
그리고 연결 되지지 않는 다는 것 역시 아무런 의미가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중요하다.
평소엔 그런 사진이 내 손에 쥐어져 있을땐 치워버리지만 때론 그렇게 하기 힘든것이 있다.
그것도 굉장히 힘들때가 있다.
그럴땐 포르노를 보면서 마스터베이션을 하고 나선 스트레이트 더블로 위스키 한잔 마시고 자는게 최고였다.
창문 넘어 멀리 쿠콰드륵 하는 소리가 들렸다. 그리곤 다시 조용해졌다.
그 소리와 그 뒤, 부드럽고 무념한 적막속에 죽음의 냄새가 진하게 풍겨왔다.
그 냄새는 피의 진액같은 것도 아니였고 검은색의 액체는 더더구나 아니였다.
마침 담배가 다 떨어졌다. 적당히 걸치고 조그만 카메라를 울러메고 홀린듯 소리가 났던 거리로 나섰다. 편의점에 가서 담배를 한갑 사고 소리가 났던 곳으로 발걸음을 옮겼지만 소리가 났었을 것이라 생각한 곳에선 아무것도 없었다.
홀린듯 바라보며 그 빈공간에 플래시를 터트려 찍었다. 도무지 그렇게 하지 않고는 견딜 수 없었다.
작업실에 돌아와 담배에 불을 붙이고 카메라를 놓아두고 의자에 앉아서 귀를 기울였다. 깊은 밤 도시에서 가장 큰 소리는 앰뷸런스 소리다. 당연히 그래야겠지.
싫어 할수도, 그렇다고 아무리 노력해도 좋아질 수는 없는 소리다.
이 즈음 되면 소리가 들려야 할텐데 아무런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음악은 끈 상태였고 의자에 가만히 앉아서
공기가 흐르는 소리를 듣고 있었다.
한시간 동안 앉아 있었다. 그리곤 무척 피곤함을 느끼고 잠자리에 들었다.
그로 부터 두어달이 지났다.
창문 넘어 멀리 쿠콰드륵 하는 소리가 들렸다. 그리곤 다시 조용해졌다.
그 소리와 그 뒤, 부드럽고 무념한 적막속에 죽음의 냄새가 진하게 풍겨왔다.
그 냄새는 피의 진액같은 것도 아니였고 검은색의 액체는 더더구나 아니였다.
담배는 아직 남아 있었고 음악은 그대로 틀어두었다.
앰뷸런스 소리따위 이런것과는 상관없이 잘 들리는 것이다.
굳이 담배를 사러 나갈 필요도 없었고, 카메라를 울러매고 홀린듯 길거리에 나가지 않아도 괜찮았다.
골드베르그 바리에이션을 틀어놓고 위스키 반잔을 한번에 들이붓고 다시 평균율 클라비어 2권을 틀어놓고 남은 반잔을 마셨다.
지구는 여전히 자전을 하고 있었고 여전히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었고 나는 내 의자 위에서 자전을 하고 있있었고 삶을 죽음을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었다. 단지 그런것 일 뿐, 의미따위 애초에 있을 수 없는 것이다.
어느 날엔 넓고 깊은 동굴속에서 막 나와 눈이 부심을 아파하며 짜증을 내다가도 한편으론 그것이 기쁘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그런것은 결코 오래 가지 못했다. 언제 까지나 동굴일 뿐이였다. 그러다가 비로서 출구 근처에서 빛의 온기가 느껴짐에 어느 정도 가까이 왔다는 것을 스스로 기뻐했다가도 그것은 사실 지열에 의한 온기였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순간 마음이 �어지는 감촉을 강제로 당할 수 밖에 없기도 했다. 강간 당하는 느낌이 이것과 비슷한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해본적도 있었다.
그때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느껴지는 한가지 것은 공기의 흐르는 소리였다.
통풍이 되는 옷을 입을때가 된건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봄의 냄새는 조금씩 엷어지고 맥주가 조금씩 맛있어지기 시작한다.
하지만, 저녁이 되면 아직 날이 쌀쌀하다. 도회지에 살고 있고 꽃가계와 가깝게 지내지 않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무엇으로 계절을 느끼게 되는걸까. 여자의 옷이라던가 온도의 차이라던가 하겠지만 당체 무엇으로 계절이 바뀜을 인정하게 되는걸까.
사람에게도 계절이 있어서 변하곤 하는데 어떨때 그것을 느끼게 되는걸까.
어젠 어린이 날이였고 조용한 하루였다. 결혼을 하지도 않았고 다행스럽게 자식도 없다. 딱히 특별할 일이 없는 하루였고, 늦은 오후에 어딘가 노곤하고 피곤한 기분이 들어 잠을 잤다.
사진을 몇장인가 찍었고 카메라에 들어있던 필름을 전부 써버렸다. 봄의 독기가 조금씩 빠져나감을 느꼈고 오늘 새삼스럽게 행복이라는 것은 무엇인지를 깨닫게 되었다.
비록 그것이 오래 가지 못할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난 진심으로 감사했다. 조금씩 기운을 내야 할 때이다.
십년 넘게 사용한 AF 50mm 렌즈를 마운트 한체 망연히 보고 있었다.
그것은 기쁘지도 슬프지도 않은 무색, 무취의 광경이였다.
순간 그 렌즈를 빼버리고 Nikkor 45mm f2.8/P 렌즈를 마운트 했다. 스스로 느끼기 힘들 정도로 순식간의 일이다. 익숙하니까 자신이 그렇게 했다는 것도 쉽게 인식 되지 않는다.
포커스를 신속히 가져다 놓은 후, 반숨을 쉬고 조리개를 f5,6로 조였다.
어떤 무상함에 쓸려가버리듯 그렇게 몸이 기능하고, 아무것도 움직이지 않았던 그 광경을 파인더로 한창을 봤다. 시간이 얼마나 흘렀는지 조차 느끼기 힘들었고 단지 무상함을 맞댄체 그 속에서 나를 가만히 녹여내는 것 정도 밖에 할 수 없었다.
이윽고 갑자기 잊었던 것이 번쩍 생각이라도 난듯, 다시 몸을 움직일 수 있게 되었다. 일종의 반항심이였을까. 조리개를 한단 더 조였고 정보 표시창엔 f8이라고 나왔다. 그리고 그것은 무척이나 날카롭게 나올 것이라는 것을 난 알 수 있었다. 셔터 따위 누르지 않아도 알 수 있는거다. 호흡을 멈추고 눈이 아릿해짐을 느낄때 누르는 감촉도 느낄 수 없을만큼이나 부드럽게 셔터를 눌렀다.
한숨을 쉬고, 문득 렌즈를 봤다. 검은색의 작은 그 렌즈는 웃지도 울지도 비웃지도 슬퍼하지도 않았고 단지 그 자리에 있었을 뿐이였다. 담배 한대 물고 다시 걸음을 옮겼지만, 몸이 으스러질 정도로의 격렬함이 아직 몸에 남아있었다. 다시 담배 한 모금을 빨아들이고 내쉬기를 몇번이고 반복하자 겨우 그 진동 만이 남아있게 되었다.
옛날과 한가지 달라진건 어쩌면 칼을 휘두르는게 좀더 세련되어진것 뿐이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하며 자신에 대해 반성을 하고 싶었다. 하지만 오늘은 그러고 싶지 않았다.
단지 그 뿐 이였다.
그런 카테고리의 인간들에게 일말의 자비(그런게 나에게 존재한다면)도 베풀고 싶은 생각은 없지만, 한편으론 측은 하고 불쌍한 생각이 든다.
그들은 그들 나름대로 열심히든 어찌되었던 살아갈 따름일 뿐일테니까.
비열한 인간이, 열심히 비열한 사회를 만들고 사람을 비열하게 만든다.
언제까지 그렇게 살텐가?